할랄(HALAL) 식품원료 | ||||
---|---|---|---|---|
품목명 | 원산지 | 포장단위 | 할랄 | 비고 |
L-테아닌 | 중국 | 20 Kg | HCAI 할랄 | 건강기능식품 |
대두레시틴 | 인도 | 20 Kg | LPPOM MUI | 식품첨가물 |
스피루리나 비타민D3 | 대만 | 1 Kg | JAKIM 할랄 인증 |
식품첨가물 |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G-MIL) | 대만 | 1 Kg | JAKIM 할랄 인증 |
식품첨가물 |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G-WMR) | ||||
효소처리스테비아 | 인도 | 25 Kg | JUHF 할랄인증 | 식품첨가물 |
녹두단백분말S | 호주 | 20 Kg | 빅토리아 이슬람조정위원회 | |
레몬그라스 | 베트남 | 12 Kg | JAKIM 할랄 인증 (베트남) |
|
레몬파우더 | 영국 | 25 Kg | HALAL CERTIFICATION EUROPE |
|
오렌지파우더 | ||||
블랙커런트추출분말 | 중국 | 20 Kg | JAKIM 할랄 인증 |
|
쌀단백분말 | 베트남 | 20 Kg | JAKIM 할랄 인증 (베트남) |
|
양파농축액 | 중국 | 25 Kg | 미국 IFANCA |
|
크림드코코넛 | 인도네시아 | 20 Kg | LPPOM-MUI | |
타피오카시럽 | 베트남 | 25 Kg | JAKIM할랄 인증 (베트남) |
|
피쉬액젓 | 태국 | 20 L (24 Kg) | THE CENTRAL ISLANIC COUNCIL OF THAILAND | |
타마린드소스DS | 태국 | 20 Kg | THE CENTRAL ISLANIC COUNCIL OF THAILAND | |
삼발올렉 | ||||
쓰리라차칠리소스 | ||||
코코넛꽃액즙 | ||||
스위트칠리소스 |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이라는 뜻입니다.
할랄 식품(Halal Food)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무슬림들이 먹고 마실 수 있도록 허용된 식품을 뜻합니다.
과일, 채소, 곡류 등 식물성 음식, 해산물 등이 여기 속합니다.
HALAL(할랄)은 국제 인증이자, 종교·문화적 인증입니다.
식품의 가공부터 포장·보관·운송 등 유통과정 전반에 걸쳐 이슬람 율법에서 금지한 하람(HARAM) 식품과
철저한 분리를 보장하기 위한 인증제도입니다.
이슬람 국가 정부나 민간기관이 주도해 제품이 이슬람 율법에 어긋나지 않은 제품임을 인증합니다.
할랄은 신이 허락했다는 이슬람의 종교적 의미뿐만 아니라, 제품의 유통과 보관 과정 중에 철저한 검증을 거쳤다는 인증으로 인식돼
이슬람교도가 아닌 사람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엔 식품뿐 아니라 패션·화장품·의약품·관광·물류 산업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신앙을 중시하는
이슬람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필수요건이다. 할랄 인증기관이 정부 기관으로 이관됨에 따라 의무화되고 있습니다.
이슬람식 도축방식인 다비하(Dhabihah, 짐승의 머리를 메카 방향으로 돌려 눕히거나, 든 채로 날카로운 칼로 고통 없이 목을 치고
모든 피 방혈)에 따라 알라의 이름으로 도축된 염소 고기·닭고기·쇠고기 등도 할랄입니다.
모든 종류의 알코올과 향정신성의약품은 금기인 하람입니다.
과자·빵·주스·가공식품에도 돼지고기나 알코올 성분이 없어야 합니다.
주요 할랄 인증의 종류 | |||
---|---|---|---|
인증기관 | 국가 | 주요내용 | 인증로고·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BPJPH 할랄 인증 |
인도네시아 |
· 식품은 계도기간(5년)을 거쳐 2024년 부터 할랄 인증이 의무화 될 예정 · 할랄 인증을 통해 식품이 할랄의 준비 및 성분 표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증명 |
|
싱가포르 WAREES(MUIS) 할랄 인증 |
싱가포르 |
· 할랄 품질경영시스템 을 중심으로 할랄 식품에 대해 심사하고, 음식이나 식품 관련 산업의 성격에 따라 7종류의 할랄 인증이 가능 · MUIS에서 인증제도를 관리하며, 산하 Warees Halal기관에서 시험 및 인증서 발급의 실질적 업무 담당 · 한국이슬람교중앙회(KMF) 할랄 인증과 교차인증을 체결로 국내 KMF인증을 취득하여 싱가포르로의 할랄 식품 수출 가능 |
|
말레이시아 JAKIM 할랄 인증 |
말레이시아 |
· 육류 및 육류기반의 제품은 의무적으로 취득해야 하며, 이외 식품에 대해서는 권고사항 · 할랄 인증을 통해 식품이 할랄의 준비 및 성분 표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증명 |
|
미국 IFANCA 할랄 인증 |
미국 |
· IFANCA 할랄 인증을 통해 식품이 할랄의 준비 및 성분 표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증명 · 국내에서 시험 및 인증 취득 가능 |
|
UAE ESMA 할랄 인증 |
아랍에미리트 |
· 할랄 인증을 통해 식품이 할랄의 준비 및 성분 표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증명 · 육류 및 육류를 포함한 식품은 할랄 인증을 의무적으로 취득해야 함 · 국내 승인받은 인증대행기관을 통해 검사 및 인증 취득 가능 |
|
한국 KMF 할랄 인증 |
한국 |
· 식음료 및 원재료, 제조공정 등이 할랄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하람(HARAM)으로 규정되는 원료를 함유하지 않아야 함 · 말레이시아 JAKIM 인증, 싱가포르 MUIS 인증, 대만 THIDA 인증과 교차인증을 시행하고 있음 |
|